2003년 영농평가자료

본 자료는 놀부농원에 국한자료이므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십시요.

놀 부 농 원

기상개황(2003)

 

           분류

 월

기온(℃)

강수량(mm)

강수일수(일)

일조시간(hr)

본년

평년

본년

평년

본년

평년

1

상순

-5.8

-3.0

0.0

7.4

7

76.5

63.1

중순

-0.4

-4.3

4.0

4.6

62.5

71.7

하순

-4.0

-4.1

18.8

8.2

66.4

79.7

2

상순

-0.2

-3.0

15.5

6.1

7

58.7

73.4

중순

1.6

-0.7

3.6

11.8

81.7

73.6

하순

2.2

0.3

38.5

9.3

34.7

67.3

3

상순

1.6

2.2

16.5

20.5

12

63.5

81.4

중순

4.3.

4.4

18.0

10.5

76.2

83.2

하순

8.1

6.2

1.5

20.6

88.7

89.7

4

상순

9.4

9.4

35.5

27.4

12

75.4

88.1

중순

12.8

11.2

53.5

35.2

69.6

89.6

하순

13.0

13.4

131.5

33.7

68.6

89.0

5

상순

14.9

15.2

108.0

30.3

10

90.3

94.6

중순

17.6

16.4

0.0

39.1

97.7

89.7

하순

18.6

18.5

85.5

19.1

80.4

107.8

6

상순

20.1

19.9

0.0

53.9

13

101.6

89.6

중순

20.7

21.0

47.5

38.7

64.3

92.3

하순

21.2

21.8

153.5

72.4

50.0

80.5

7

상순

21.5

22.9

207.0

69.6

23

49.6

72.9

중순

21.3

23.6

136.0

113.1

58.3

66.6

하순

23.0

25.1

204.0

79.2

69.2

82.7

8

상순

22.1

25.3

21.0

64.8

19

74.7

84.8

중순

21.3

24.6

137.5

67.5

56.0

75.4

하순

23.1

23.1

184.5

90.3

45.1

76.6

9

상순

22.1

21.0

153.5

66.0

14

46.5

65.8

중순

20.0

18.6

140.5

45.2

44.0

73.5

하순

16.3

16.7

0.5

15.4

83.8

81.8

10

상순

14.3

14.7

1.0

24.4

5

89.3

76.4

중순

11.6

12.7

12.0

7.8

68.8

76.0

하순

8.3

9.7

8.5

11.5

93.7

82.5

11

상순

10.6

8.1

23.0

17.7

11

54.6

67.8

중순

7.2

4.9

27.5

10.0

46.2

62.4

하순

5.7

2.3

8.0

10.1

53.3

67.1

 

 

 

1,995.9

1,141.4

133

 

 

 2003년 영농평가

 

1. 총 평

가. 개화 기간이 평년에 비해 매우 짧았으나 중심과 수정, 초기 생장은 양호하였으나, 잦은강우 일조부족 지하수위 상승, 지표면 수분정체, 일조부족으로 후기 생장이 불량하여, 비대불량, 당도 저하 등, 단위 생산량이 떨어지고,

나. 해충의 발생주기가 불규칙하고 반낙, 갈반병이 다량발생, 착색기 흡수나방, 명나방, 노린재 등이 과일을 가해하여 상품과 생산에 어려움이 많았음.

다. 품질간(고, 저품질) 가격 격차심하와 소비자 구매선택의 변화 (외국 과일 조기수입) 소비심리 위축등 사과 소비가 둔화 될 것으로 사료됨

2. 문 제 점

가. 잦은 강우, 일조부족, 웃자람 현상

나. 생육부진에 따른 비대 불량

다. 2차생장 화아형성 불량

라. 해충 피해 확산

마. 과다한 노동력 투입, 생산량 저조(평년대비. 70%)

3. 개선 대책

가. 이상 기후에 대한 계획 수립

    매개곤충(머리뿔 가위벌) 및 화분 확보

    엽면시비 프로그램 개발

    배수로 정비 및 신속한 배수

나. 재배체계

    개원전 충분한 검토 및 계획수립

    - 철저한 토양관리

      포도관리, 토양보존(침식, 물리화학성 침식대책) 유기물투입

      산도교정 관. 배수등

    - 수형 선택 및 관리(세장방추형, 하수형, 방추형)

    측지 배치 및 수고조절

    - 지속적 착과 및 안정적 수세조절

다. 병해충

    잦은 강우 일조부족, 저온 현상, 반낙, 갈반병 다량발생

    발생밀도 불규칙에 따른 방제체계 개선

    착색기에 비래되는 해충(흡수나방, 명나방, 노린재)의 방제대책

      수체의 건강여부가 병해와의 관계는 밀접함

라. 기타

    유통의 집단화 공동정산제 도입

    - 기술교류   품질의 동일성

    - 개인 저장고 자금 배제   통합 저장 유도

    - 유통의 일원화 공동 브랜드개발(지역적개념)

      전자 상거래 등, 개인 브랜드 날립으로 소비자 혼란 초래

    - 가공식품개발 부가가치 창출

4. 세부 평가

가. 재배분야

 1) 동계전정

    솎음 및 갱신전정

    노쇄지 제거, 착과 부위 확보(예비지)

       - 주종 관계확립(주간 7 : 측지 3)

         계획된 수형 투광율 저해 부분 과감한 제거

2) 하계전정

    1차 : 적과시 도장지를 손으로 찣기

    2차 : 목질화전 염지 및 유인 결과지 확보(사용 가능한 도장지 유인 단과지 형성)

    3차 : 8월말∼9월초 수관축소 및 착색촉진을 위한 부분단축 및 절단 전정

<응용문헌>

    ○ 품종, 대목, 토양의 조건, 비배관리 가지의 발생위치 생육상태에 따라 전정 방법이 달라야 한다.

    (역자:윤태명.사과나무 세장 방추의 전정방법.p.11∼7)

    ○ 가지를 강하게, 약하게 튼튼한 골격 과실의 무게로 늘어지게 하는    등 목적에 따라 전정방법이 달라야 한다

    (역자:정혜웅.전정은 과학이다.P75∼102)

    ○ 전정 형태와 시기 강도에 따라 전정전후 생장반응은 다르게 나타낸다.

    (역자:고광출외 7인저. 전정과 수체생리.P111∼132)

3) 개화 및 결실

   ○ 일시 개화현상 4. 22.∼4. 25(15%개화), 4. 26∼4. 27.(양일간 만개)

   ○ 머리뿔 가위벌  3,000수방사

   ○ 일부 인공수정실시

     일시 개화현상으로 노동력 동원 부진으로 인공수분 차질이 생기고, 구입한 화분 수정율 저하

4)결실율

구분

중심화

측화

생화

80%

20%

액화

85%

적과시제거

 

5)적화적과

○작업일정

구분

작업기간

비고

1차적과

5.12완료

개화동시 적화실시

2차적과

5.26∼6.5

생장부진과 제거

3차적과

6.20∼6.30

"

4차적과

8.20∼수확전까지

병해충,기형과제거

   ※전년대비 착과량 부족 및 태풍, 강풍에 의한 낙과로(1200kg) 기형과,

   병해충 피해과만 제거

6) 생장 및 비배관리

    ○ 생장관리

    - 두더지 다량서식. 지표면 요철현상(굴토에 의한 다량의 토양유출)

    - 수세는 빈약하나, 20% 웃자람 현상(2차생장)

    - 과다 착과, 수세 빈약주 부분 갈발병 발생

    - 쓰가루 3주. 후지6주 엽소현상

    - 동일주 수체간(후지) 생장불균형

    - 23주 전정시 강한 꽃눈따기(정화만 남김) 무결실

      (기부에 낮게 배열된 강한 주지 1∼2개 완전제거)

      ※기존 과원의 경우 강한 절단 전정, 과도한 질소 투입, 가지배열의 불균형(주종관계 미확립) 밀식장해, 착색불량 과도한 노동력 소요 등 경제성이 희박하므로 과원의 구조개선 및 새로운 재배 체계로 전환 되어야 할것임

   ○ 비배관리

     - 유 무기질 투입 현황

                 구분

유무기질

살포량(kg)

살포시기

살포방법

전량

10a당

퇴비

9,000

2,812

11.~12월

전면

요소

32

9.37

2월중순

2Kg엽면시비

황산고토카리

50

15.6

7월말

전면

규산질석회

600

187.5

11~12월

전면

 - BONUS. N.P.K (13-2-44) 및 요소 (N46%)

     갈발병 발생주 제한적 살포

    - 제초에 의한 자연 유기물 획득(초생재배)

7) 착색 및 수확

    착색관리

    - 8월말∼9월 10일 도장지 및 투광 장애지 제거

    -반사필림. 피복 (9월 20일∼24일)

     반사필림 피복시기는 수확. 30일전 피복하는 것이 착색효과증진

    - 적엽: 1차-과주위 일부, 2차-사과돌리기와병행

           심한적엽. 착색불량 및 당도저하

    수확

    - 10월 23일 ∼ 11월 5일 수확 완료 (착색이 양호한 과일부터)

    - 과실특성조사 현황

과중(g)

 종경(mm)

횡경(mm)

경도(kg/8mm)

당도(。BX)

 산도(%)

착색(1~10)

종자(개)

 310.7

80.4

87.0

3.3

13.3

0.3

9.3

7.3

 

점박이응애

사과응애(알)

착색도

과경부

꽃받침

과경부

꽃받침

2

a

b

0.0

0.0

0.0

0.0

38.0

24.5

10.1

 나. 병 해 충

1)해충

    2000년 교미교란 + 살충제2회

    2001년 교미교란 + 살충제 무처리(진딧물.응애 제외)

    2002년 교미교란 + 살충제 2회

    2003년 살충제 1회

   교미교란제 방제 이후 나방류 피해가 경제수준 이하이므로 방관하고 금년 페르몬트랩에 은무늬굴나방을 제외한 나방의 유살수가 미미하여 강우가 잦으면 해충의 밀도가 떨어진다는 통념으로 안이한 생각으로 살충제 1회 방제로 과실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음.

    진딧물. 응애류 밀도저하

    은무늬굴나방 증가 초기 신초 피해

      - 년도별 발생 현황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2001

-

273

223

73

143

72

2002

-

311

348

219

315

118

2003

-

446

411

847

594

319

  복숭아순나방 유살수 4월(12) 5월(15) 6월(4) 8월(5) 9월(9) 10월(0)

    복숭아심식나방 유살수 무, 피해 다발생

    사과무늬. 애모무늬 잎말이나방, 유살수 무, 피해 다발생

    사과굴나방, 유살수 무, 피해 소량발생

    노린재 피해급증

        - 년도별 발생현황

 

일자

8. 30

9. 5

9. 10

9. 15

9. 20

9. 25

9. 30

2002

-

109

15

27

10

18

11

2003

411

46

46

30

33

35

42

  알락스염 노린재

    과원일부지역(민들레 군집)에서 채집기 포획결과 상당수 개체가 채집되었으나, 민들레 꽃이 진 이후 포획되지 않았음 동 노린재는 7∼8월경 과일로 가해하는바 최초 발생지에서 전 과원을 조사하였으나 발견치 못하여 계속적인 피해여부 생활사의 관찰이 요구됨

    사과 면충 계속 증가 및 피해발생

    고독성 농약을 지양하고 살충제의 제한적 살포로 자연상태의 복원은 점진적이나 피해증가에 따른 대책 및 관찰이 요구됨

        - 연도별 해충 피해현황

 

                         년도

해충명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증감

(02/03)

심식나방

0.07

0.428

0.186

1.679

+1.493

순나방

0.08

1.282

0.075

3.382

+3.307

잎말이나방

0.01

0.211

0.278

1.604

+1.326

노린재

0

1.014

1.034

1.624

+0.590

기 타

0.27

0.204

0.722

3.259

+2.537

0.43

3.139

2.295

11.548

+9.253

방제력

          년도

회수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살충제

살비제

살충제

살비제

살충제

살비제

살충제

살비제

1

카스케이트
 



기계유유제

2

모스피란 페로팔 모스피란
코니도 아크라마이트

에토펜프록스

3

 

가네마이트 코니도 가네마이트
주론


가네마이트

4

주렁

오미트

 


화스탁


 

 

2) 병해

    부란병 : 주지 증가 가지 감소

    반낙 : 미발생

    갈반병 : 부분발생 216주중 11주발생 (5.09%)

     직접 발생보다 2차 감염에 의한 발생 (해충, 일소피해과)

    탄저, 부폐병 : 2000년대비 증가(피해현황참조)

    과심곰팡이병 : 대량발생

     - 꽃받침부위 발생. 과심곰팡이 감소 (0.834%)

     - 과내 발생 과심곰팡이병 다발생 (4.722%)

    그으름 및 그으름 반낙 : 미발생

     쓰가루 21주중 16주 수확후 생리적 낙엽 현상(3년계속)

     시료채취 검사결과 일부 갈반증상, 생리적 낙엽 규명안됨

    과실피해현황

연 도

병 명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증감

(02/03)

부      패

0.32

0.539

0.051

0.871

-0.488

탄      저

0.36

0.691

0.237

1.545

-0.454

과심곰팡이

0.07

1.331

1.065

5.467

-0.268

역      병

0.30

0.000

0.000

0.000

0.000

그을음병

0.17

0.000

0.601

0.000

+0.601

반      낙

0.00

0.000

0.018

0.000

+0.18

흑      점

0.00

0.000

0.000

0.504

+0.504

1.22

2.561

1.972

8.387

-0.589

  2차감염(흡수, 일소과등) 0.772%

  ○  방제력 

년도

회수

2000

2001

2002

2003

개화전

오소싸이드

다코닐

 

베푸란

1

시스텐엠

시스텐엠

시스텐엠

시스텐엠,파리사드

2

안트라콜

안트라콜

해비치

해비치

3

홀펫

홀펫

델란

델란

4

베푸란

델란

베푸란+캡탄

프린트

5

아미스타

다코닐

실바코

(특)베푸란

6

베푸란

베푸란

삼진왕

실바코

7

실바코,바이코

바이코

 

삼진왕

8

 

삼진왕(특별살포)

 

 

4. 결 론

가. 재배분야

    과다착과로 인한 격년결실 및 기상이변에 대한 사전대책 수립

     생산량 증가등 고품질 향상을 위한 철저한 준비가 요구되고

    기준 과원의 경우 토양조성, 재식거리 수형의 구성, 과번무에 의한 밀식장해, 노동력의 과다 투입등 경제성이 희박하므로 고품질 상품 생산을 위해서는 재식체계(밀식재배)로 전환되어야 할것임

  나. 병해충

    살충제 최소화로 천적의 밀도는 늘어나나 예전에 피해주지 않았던   사과면충 등 제2의 해충발생에 대비 철저한 관찰이 필요하고.

    잦은 강우 환경의 복원으로 진딧물, 응애류는 점차 감소추세이며,   

     착색기 피해를 주는 흡수나방, 명나방, 노린재에 대한 방제대책이 필요함.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유인제보다 기피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됨

방제일지

                            일

구분

                   년       월       일

기상

 

농약명

유효성분

 

첨가제

 

 

계통

 

독성

 

잔류시간

 

적용병해

 

적용충해

 

살포물량

리터

살포면적

기타(장비,시간)

약효, 약해

안전주의사항

 

방제전후

관찰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