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오염과 실태

본 자료는 놀부농원에 국한자료이므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십시요.

놀 부 농 원

Ⅰ. 농약의 오염과 그 실태

1. 실태

⼑ 무절제한 생산 활동

⼑ 문화적 위기와 인간성 상실

⼑ 중독 증상 등 각종 질병의 원인 제공

2. 농약의 오염 (Pesticide pollution)

※ 경제적 독약 (Economic Poison)

⼑ 자연 생태계 파괴 및 식품 오염

⼑ 자연 환경에 지속적 잔류 축적 등 생태계 순환

3. 살충제 사용의 문제점

⼑ 살충제 과용

- 단일종의 집단 형성 및 종의 증가

- 목표로 하는 해충 외의 포식자, 기생자 소멸

- 해충집단의 억제 곤란

- 개체수가 적은 피해 해충이 강력한 해충으로 등장

- 이전 보다 훨씬 큰 집단 형성, 농작물 피해

⼑ 내성증가

- 해충집단 또는 개체의 내성 증가

- 단년 또는 다년 사용 농도 증가 효과 기대

- 내성종 출현 살충 집단 밀도 관계 성립

(일정 면적 수천 수마리 개체 구성으로 유전적 변이 용이)

- 내성 없는 개체 소멸

- 강한 개체 생존 동족간 경쟁 저하

⼑ 잔류성

-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쉽게 분해 안됨(분자적으로 안정)

- 일부 살충제 생물체내 장기적 축적

- 죽은 생물체내 잔류, 분해자의 작용 무생물적 환경에 유리.

타 생물체내에 유입

⼑ 먹이 연쇄적 축적(Food Chain Accumulation)

- 윗 단계로 올라 갈수록 체내 잔류성이 높아짐

(먹이 연쇄의 動的 現狀)

- 영양단계를 거칠수록 높은 농도로 체내 축적

⼑ 인체에 대한 영향

- 직접적인 영향

⼘ 농민 82% 농약 중독 경험, 31% 요양 또는 치료 요망

(국립 보건원 조사)

- 간접적인 영향

⼘ 각종 질병의 원인 제공

발암성, 생식독성, 만성장애, 기능장애 (동물실험결과)

연조직 육종 다발생

(혈액암, 위암, 전립성암, 뇌암, 고환암, 피부암)

Ⅱ. 사과원 병해충 발생 상황과 방제 실태

1. 병해충 발생 상황

⼑ 사과나무 기생성 병해

- 총 35종(진균병 32종, 세균병 2종, 바이러스 1종)

⼘ 생육중 병해

적성, 흑성, 반낙, 갈반, 부패, 탄저, 그으름, 그으름 점무늬병

⼘ 토양 병해

역병, 자주날개무늬병, 흰날개무늬병

⼑ 사과원 해충

- 총 312종(나비목 169종, 딱정벌레, 나비목순)

- 실제 피해 해충

⼘ 사과, 점박이응애, 사과혹, 조팝나무진딧물,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굴나방, 은무늬굴나방, 사과애모무늬 잎말이나방, 사과무늬 잎말이나방

⼘ 연도별 사과원의 주요 병해충 발생 및 피해 상황

 

병해충

발생과원율(%)

발생 및 피해 정도*

'95

'96

'97

'98

'95

'96

'97

'98

갈색무늬병1

100

93

100

100

14.0

4.5

26.0

52.0

겹무늬썩음병2

96

83

100

100

1.3

1.6

4.9

24.6

그을음(점무늬병)2

4

17

32

22

0.04

0.1

0.2

0.2

점박이응애1

92

86

89

87

81.5

71.8

154.8

159.1

조팝나무진딧물1

100

100

100

96

1,354

919

756

391

은무늬굴나방1

100

100

96

100

3.1

2.1

3.2

4.9

심식나방류2

32

43

71

67

0.21

0.32

1.8

3.1

잎말이나방류2

56

67

71

76

0.3

0.9

1.1

3.0

(경남북 4-6지역 20-30개원 조사. 1 : 잎, 2 : 과실)

* 점박이응애 : 마리/100엽, 조팝나무진딧물, 은무늬굴나방 : 마리/40신초, 기타는 피해엽율 또는 피해과율(%)임

⼘ 사과원의 농약 종류별 연간 살포회수 변동

 

농약 종류

1983년

1993년

1998년

범 위

평 균

범 위

평 균

범 위

평 균

살균제

11∼17

13.6

10∼19

14.9

8∼18

13.0

살충제

5∼12

8.5

5∼16

10.1

5∼12

7.9

응애약

3∼10

6.2

2∼10

4.4

2∼10

4.0

연간살포회수

11∼17

13.6

10∼16

15.1

8∼17

12.5


2. 방제실태

⼑ 농약 사용 안전 기준 미준수

⼑ 관행방제(7∼10간격)

- 광범위살충제 사용

- 살충제를 예방 위주의 개념 포지

⼑ 다종의 혼용 방제

- 살균제 + 살균제 + 살충제

- 살충제 + 살비제 + 살균제

- 살비제 + 살비제 + 살균제

⼑ 현장관찰제한, 농약 시판상의 방제력 의존

Ⅲ. 문제점 및 대책

 

1. 문제점

⼑ 병해충 식별 능력 저조 및 발생 예찰 노력 부족

⼑ 광범위살충제 위주 천적 감소 및 선택성 농약 사용 미흡

⼑ 과도한 농약 사용 - 내성 개체 출현

⼑ 신농약 선호 고농도 소량 살포 등 균일 살포 미흡

⼑ 재배일지 및 살포 전후 병해충 발생 상황 기록 소홀

⼑ 신지식 접목 및 정보 활용 부재

- 오랜 재배 경험을 앞세운 자만심 내재

- 새로운 지식 및 전문기관에 대한 거부감

2. 대책

⼑ 농약 사용 안전 기준 준수

- 사용자, 농산물 잔류,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 병해충 식별 및 생태, 생활사 이해

- 숙주 식물의 발육 생리

- 연도에 따른 기상 환경 변화

- 품종, 대목, 재배관리, 방제, 약제 등

⼑ 과원의 환경 개선

- 통광, 통풍 : 도장지, 흡지 등 병해충 선호 부위 제거

- 2차 생장 방지 : 질소 과다 사용 억제 등 안정된 수세 유지

- 피해 과실 조피 등 병해충 서식처 제거

- 천적에 독성이 높은 농약 사용 지양 및 선택성 농약 사용

⼑ 과원에 발생하는 모든 상황 기록 유지

- 농약 살포전 : 병해충 발생 밀도

- 농약 살포후 : 병해충 천적 관찰 결과

- 재배에 관한 작업 일체 : 시비, 정전지, 적화, 관수, 토양관리 등

⼑ 정보의 활용 및 공유화

- 전문기관 및 선도 농가와의 정보 교환

- 새로운 지식, 경험의 토대와 접목, 아이디어 생산

Ⅳ. 결론

농약으로 완벽하게 방제한다는 의식을 버리고 과일을 가해하지 않는 해충에 대해서는 인내력을 가지며,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개체의 밀도를 유지하여 천적 등 포식자와 상존, 자연 친화적인 영농으로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생산하여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구축함이 최대의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