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영농평가자료

본 자료는 놀부농원에 국한자료이므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십시요.

놀 부 농 원

1. 총 평

 

시 기 별

과 원 상 황

개 화 기

서리, 저온, 강풍, 황사 등 수정불량

생 육 기

잦은 강우로 2차생장, 화아분화저조

착 색 기

이른 추위 광합성저하, 일조부족, 착색불량

수 확 기

기온급하강 과일결빙, 수확시기 집중으로 노동력안배의 어려움

병 해 충

노린재, 사과면충 피해증가


2. 문제점

 

、 정화수정불 정형과 생산부진

、 과다수분 2차 생장 화아형성불량

、 때이른 추위 엽록소 파괴 광합성 저하

、 착색불량 당도저하 열과 등 상품성 저하

、 과일결빙 장기저장 곤란

、 단일 품종집중 노동력 분배의 불균형

、 사과응애 내성증가, 노린재 피해급증(전국적 현상)

、 신종과심곰팡이 계속 증가

조기개화, 서리, 저온, 강풍, 심한 황사, 매개곤충의 활동저조. 수정불량, 잦은 강우 질소의 과다 흡수. 2차생장으로 화아분화가 잘되지 않았으며 때이른 추위로 엽록소가 파괴되어 광합성 저하, 착색불량, 당도저하, 열과 등 과일의 결빙 장기저장 곤란 및 상품성이 떨어지며 후지일변도 단일품종 생산이 집중되어 동시에 많은 노동력 투입. 저장시설 부족, 홍수출하 가격폭락이 예상되며, 품질간(고품질, 저품질) 가격격차가 심화될 것으로 봄.

⊙ 예전에 방제에 어려움이 없었던 사과응애의 밀도증가와 피해확산은 살충제 과다시용으로 천적의 감소와 동일한 계통 농약 장기간 사용. 기작작용이 각기 다른농약과 혼용, 농도증가등 약제에 대한 내성이 생겨 방제체계의 문제점 대두되고있음.

3. 개선 대책

가. 기상변화

1) 매개곤충(머리뿔가위벌, 꿀벌)확보 : 저온에서 활동력저하

2) 인공수정 : 단시간 노동력 동시투입 및 경제적 부담 가중

3) 양질의 수분용화분을 안정적 생산과 공급이 가능한체제 유지(정책제안)

나. 재식체계

1) 일정이상면적(1ha이상) 및 소농의 집단화를 통하여 농자재 공동구입 및 노동력 분담, 공동생산체계의 전환등 개선대책을 강구해야함(정책대안)

2) 현 재식체계가 후지(만생종 동북7호)일변도에서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중만생종으로 품종안배

3) 신규과원 조성시 조생종 25%, 중생종 30%, 만생종 45%, 재배체계를 구축으로 생산비 절감대책강구(노동력분산, 자금회전, 홍수출하방지 등)

다. 병해충 종합관리 실행 (IPM : Integrated Past Management)

※ 당과원원은 과실종합생산(IFP : Integrated fruit Production)실증실험농가임

⼐ 병해충에만 극한한 문제해결배제 토양, 시비, 관수잡초관리, 정기전정, 재배관리와연계 IFP 확대

⼐ 천정에 독성이 적은 농약사용제한(선택성농약사용)

⼐ 과실을 가해하지 않는 해충에는 방관 최소의 농약사용

⼐ 정기적 방제에서 생육시기, 기상조건, 병해충발생상황을 고려한 방제

⼐ 농약살포 전·후 병해충 발생 상황 면밀히 조사기록

⼐ 재배농민, 생산자단체, 연구지도원, 정보교환 및 조직체유지

4. 세부평가

가. 재배분야

1) 전 정

⼐ 동계전정 - 솎음 및 갱신전정

- 주·열간 겹친가지 단축전정

- 공간활용, 주지교차

- 지속적 유인

 

계전정시 강한주지(주간과 동일한 굵기)는 일시에 자르지 말고 연차적으로 축소절단

(강한주지 1∼2개를 동시에 절단한 나무, 강한수세 2차생장다발 착색, 화아분화불량 등 수세가 흐트러짐)


⼐ 하계전정 - 1차 : 6월 중, 하 (세력강한 나무 부분제거)

- 2차 : 8월 하. 9월초(2차도장지 및 채광방해 가지제거)

- 신초지 철사로 유인

- 도장지 손으로 찢기(목질화 되기 전 단가지 염지, 장가지 유인)

 

노후지, 채광방해지는 제거하고, 사용가능한 도장지는 유인, 비틀기, 결실예비지확보로 활용하여 일정한 결과지를 유지함으로써 격년결실 예방과 생산량 유지(4∼5M/T)


2). 개화 및 결실

⼐ 2002년 이상고온 조기개화

 

후지만개일



평년

2000년

2001년

2002년

월. 일

4월하∼5월초

4. 29

4. 23

4. 16


⼐ 개화기 강풍 및 서리(황사동반)

- 중심화 및 측하 50% 이상 괴사

- 화총엽이 떨어지는 현상

- 화분의 질 저하. 수정력 빈약

- 방화곤충 활동곤란 (머리뿔가위벌 영소 이탈시 바람에 날아가 버림)

⼐ 결실율

 

중심화

측화

정 화

10%

30%

액 화

35%

25%

※ 개화기간중 저온, 서리, 강풍, 흐린날씨로 정화가 괴사되고, 매개곤충의 활동곤란으로 수정불량등 정형과 생장이 어려워 상품성이 떨어짐

3) 적화 및 적과

⼐ 일기불순 적화 미실시

⼐ 수정불량, 기형과 다발

⼐ 정화의 중심과 측과 미수정, 액화결실(뺀질이)과 과다발생

※ 생장주기가 앞당겨 질수록 액화결실 발생율이 높아짐

 

적 과 작 업


- 2002년

구 분

작업기간

비 고

1차적과

5. 12완료

2000년의 경우 5. 20완료

2차적과

5. 23 ∼ 6. 4

과경이 굵고 종경이 긴 사과

3차적과

6. 10 ∼ 6.

엽수와 연관

4차적과

9. 1 ∼ 9. 20

생장부진, 기형, 병해충피해과 제거

※ 1차적과시 과총당 1과만(중심과 또는 생장양호한 측과)남기고 제거 수세 판단정도에 따라 착과량 조절(수세강 : 착과량유지, 수세약 : 적과) 금년의 경우 강우량이 많아 2차생장을 고려하여 착과량을 많이 남겨두어 수세를 유지하려 하였으나, 과다착과로 착색불량의 윈인이 되었음

4) 생장 및 비배관리

⼐ 과다수분 계속생장(2차생장 40%)

- 1차 생장 20 ∼ 30㎝, 2차 생장 5∼10㎝ (1, 2차 25 ∼ 40)

- 동일 주지내 결과지 세력 불균형

유인각도 결과지 부착위치, 굵기, 양수분의 흡수력, 기타 환경적 요 인 등에 대한 조사중임

 

1차생장 정지시기



평 년

2001

2002

기간

6. 25 ∼ 7. 5

5. 25 ∼ 6. 5

7. 5 ∼ 7. 15


 

일본의 경우 기후, 토양 환경적 조건 차이가 나겠지만 교목성 과원에서 M.9를 이용한 왜성과원까지 과일의 굵기, 착색 등이 거의 평준화

⊙ 일본 = 환엽해당 + 중간대목 + 계통이 확실하고 엄선된 품종접수

⊙ 국내 = 실생 + 중간대목 + 품종접수(?)

국내 개발한 홍로품종에서 각기 다른 생장 발현이 나타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내 재식된 후지의 경우 계통이 불분명하고 엄선되지 않는 접수로 묘목을 생산하므로 생장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것으로 사료됨


본 명의 과원 착색1계(홍부사) 3주 중 2주가 줄무늬가 나타남 일반계 후지에서 10주에서 착색1계의 변이지가 발생하였으며, 재식시 M26 대목으로 알고있었던 묘목이 조사결과 1/3은 M106 대목으로 재식되었음

추후 개원하는 농가는 본인이 직접묘목을 선발하거나, 묘목업자와 계약시 본인이 원하는 요구사항 일체(대목, 사용접수,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안전묘)를 계약서 첨부 문제점 발생시 법적대응과 영농차질에 대한 보상책을 강구하여야 하겠다.

⼐ 비배관리

- 유기질 = 6톤 (10a 당 2000㎏)

- 무기질 = (유안 80㎏, 황산마그네슘 40㎏, 붕사 10㎏)

(유·무기질 밑거름(기비)처리)

○ 제초제는 사용하지않고, 1열 예초 1열 방임, 천적의 활동처 제공 및 자연유기물 획득

5) 착색 및 수확

⼐ 일기개항(9월 20 ∼ 11월 10일 50일간)

 

기상환경

맑은날

흐린날

비온날

강풍(초속12∼19m)

일 수

28일

11일

11일

4회


⼐ 빙점이하 일수

 

월일구분

10/22

23

24

25

29

30

온도

-1℃∼14℃

-2.5℃∼11℃

-2.5℃

0℃∼12℃

-4℃∼12℃

-5℃∼15℃

월일구분

11/2

3

4

5

6


온도

-5.5℃∼10℃

첫눈

0℃∼12℃

-2℃∼10℃

-4℃∼9℃

-3℃∼15℃


⼐ 적엽

- 1차 총엽 2차 과일주변 10㎝ 이내(과다 적엽시 당도저하)

⼐ 반사필름 피복

⼐ 사과 돌리기

⼐ 착색이 양호한 과일부터 수확. 11월 8일 완료

⼐ 착색의 문제점 분석(본 과원에서 제한적 분석)

- 가지의 노후화 교체 불실시 비대불량

- 부적절한 가지 배치, 채광불량

- 토양조성의 부적절(계획성 없는 조성)

- 수분의 장기정체 및 지하수위 상승

- 질소과다(강한주지절단 및 과다수분)

- 이른추위 엽록소 파괴 잎의 기능상실(광합성). 착색불량의 결정적 원인

- 사과돌리기 반대편쪽 결빙, 착색 및 상품성 저하

가. 병해충

1) 해 충

⼐ 교미교란 설치구(2000∼2001년)

- 교미교란제 방제구로써 페로몬 트랩에서는 유인되지 않으나 실상황 에는 상당한 피해과 발생

- 설치포장 내에서는 교미교란작용 양호함(과원중앙부 피해없음)

- 미설치 포장(인근과원)에 유입. 교미가능 (과원외부 피해증상)

※ 성페르몬트랩설치 본 과원에 주요해충, 발생시기, 밀도, 자료분석 활용

⼐ 교미 교란제 방제 과원의 실천사항

- 병해충 종합관리(IPM) 개념, 원칙 이해와 실천

- 주요 병해충, 식별능력 및 발생상태와 생활사 인지

- 병해충 천적의 발생예찰 조사 실시(페로몬트랩 5∼7 유살수 조사)

- 발생예찰 결과 분석 방제 대책 결정

(천적류 영향이 적은 선택성 농약사용)

- 농약살포전후 병해충발생상황 사용농약명 배수. 살포량, 살포시간 등 자세히 기록

- 영농교육 현장세미나 참석. 최근 정보수집활동(관련자료 책자 구입)

- 사전조사없이 실시하는 방제(교미교란제 가격이 높음)는 생산단가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1ha당 1,653천원소요)

※ 숲이나, 논밭 둘러싸여 격리되고 단지화된 지역. 주산단지의 일괄방제 등 대단위 지역에 실시함이 방제의 효과가 극대화 할수 있으며, 교미교란제 방제전 성페로몬트랩을 이용. 2∼3년간 과원의 주요해충발생. 시기, 밀도, 생활사를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교미교란방제 여부결정.(현 6종에서 필요물질만 투입. 2∼3종 합성으로 가격의 하락을 유도할 수 있음)



⼐ 해충발생상황

- 진딧물류 : 조팝나무진딧물 감소, 혹진딧물 증가

(수세안정, 적절한 수세관리로 억제가능, 진딧물과 은무늬굴나방은 신엽에만 가해)

- 은무늬굴나방 증가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2001

-

273

223

73

143

72

2002

-

311

348

219

315

118

※ 5일간격조사 총유살수(월간)

- 사과굴나방, 초기 -평년에 비해 증가 , 후기 - 평년과 동일

- 애모무늬사과잎말이나방은 약간 증가

- 복숭아 순, 심식나방 감소

- 노린재 및 사과면충 증가

- 말매미 감소

-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 유인트랩 개체수 현황

 

일자

8. 30

9. 5

9. 10

9. 15

9. 20

9. 25

9. 30

개체수

49

109

15

27

10

18

11

- 응애류 감소(점박이응애, 사과응애)

⼘ 천적의 증가(살충제 최소화 및 천적에 영향이 적은 선택성농약 사용)

⼘ 충분한 살포물량(10a 520L)

⼘ 계통이 다른약제 교호살포 → 내성증가 예방

⼘ 부착율 75%이상 유지

※ 6차방제시 합성피레스계통(화스탁)약제 사용은 노린재와 사과면충의 밀도증가로 방제, 선택성농약은 殺蟲 불가

연도별 해충 피해현황 (%)

 

      년도

해충명

2000년

2001년

2002년

증감(2001년대비)

비 고

심식나방

0.07

0.428

0.186

-0.252

2001년 살충제 미살포

순나방

0.08

1.282

0.075

-1.207


잎말이나방

0.01

0.211

0.278

+0.067


노린재

0

1.014

1.034

+0.02


기 타

0.27

0.204

0.722

+0.566


0.43

3.139

2.295

-0.806



살충제 방제력

 

구분

회수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비고

살충제

살비제

살충제

살비제

살충제

살비제

살충제

살비제

1










2





모스

피란





3

카스

케이트


카스

케이트







4

모스

피란


모스

피란


코니도


코니도

아크라마이트


5




페로팔



주론



6

뚝심

페로판




가네

마이트

화스탁



7










8




가네

마이트






9

주렁

피라

니카

주렁







10










11



오마

이트







12

강타자










2) 병 해

⼐ 부란병 : 주간부감소, 가지부란병 증가

(과일이 절단된 과경, 적과시 길게 남긴 과경의 절단부에 발병율이 높음)

⼐ 반점낙엽병 : 후기일부발생(2차생장 발병율 높음)

(병특성상 신엽에만 발병하므로 수세안정등 건전한 과원관리로 충분한 예방)

⼐ 갈반병 : 후지-미발생, 쓰가루-수확후 40% 발생

⼐탄저병 : 감소

⼐부패병 : 감소

⼐그으름병 : 일부발생

⼐과심곰팡이병 : 증가

- 2000년까지 과심곰팡이에 감염된 과일이 6∼7월경 과피가 적색으로 나타내며 생장이 불량하고 꽃받침부위에 불순물 유출

- 2001년부터 과심곰팡이병이 감염된 과일은 수확시까지 외부증상없이 착색이 지극히 양호하고, 만색후 횡경부위 500원동전크기의 병반표출

- 과일절개시 0.5∼1cm의 외피는 건전하게 감싸고, 과육은 잘익은 감 (홍시)처럼 내부전체가 갈변현상

※ 2001년부터 꽃받침부위만 괴사되고, 씨방 및 과일내부에는 전혀증상이 없는 변종 과심곰팡이 발생(대구사과연구소 환경연구실 통보)

 

과실피해현황






연 도

병 명

2000년

2001년

2002년

증감

(2001/2002)

부 패

0.32

0.539

0.051

-0.488

탄 저

0.36

0.691

0.237

-0.454

과심곰팡이

0.07

1.331

1.065

-0.268

역 병

0.30

0

0

0

그을음병

0.17

0

0.601

+0.601

반 낙

0

0

0.018

+0.18

1.22

2.561

1.972

-0.589


 

살균제살포현황



년도

회수

1999년

2000

2001

2002

살포일

약명

살포일

약명

살포일

약명

살포일

약명

개화전

3. 27

톱신

4. 17

오소싸이드

4. 12

다코닐



1

4. 18

오소싸이드

5. 2

시스텐엠

5. 4

시스텐엠

5. 2

시스텐엠

2

5. 11

시스텐엠

5. 29

안트라콜

5. 26

안트라콜

5. 28

해비치

3

5. 28

치람

6. 14

홀펫

6. 9

홀펫

6. 22

델란

4

6. 8

안트라콜

6. 29

베푸란

6. 26

델란

7. 17

베푸란+캡탄

5

6. 18

홀펫

7. 17

아미스타

7. 13

다코닐

8. 19

실바코

6

6. 27

베푸란

8. 2

베푸란

7. 28

베푸란

9. 2

삼진왕

7

7. 7

아미스타

8. 15

실바코,바이코

8. 13

바이코



8

7. 17

베푸란



8. 29

삼진왕



9

8. 1

홀펫







10

8. 12

실바코







11

9. 1

푸르겐







※ 후기장마시 그을병 발생에 대한 대책강구

5. 결 론

가. 재배

⼐ 노후지 교체 신초지보존 및 결과지 확보

(절단 및 강전정 지양, 솎음 전정)

⼐ 충실한 꽃눈 확보 및 저장양분유지

⼐ 조속한 전과 양분쟁탈방지(균일한 착과)

⼐ 적절한 시비 및 표토관리

- 정기적인 토양검정 (유기물투입, 토양의 안정성 유지)

- 생리장애 발생, 엽면시비후 토양살포

- 유기물, 석회, 인산, 기비처리(양분전환기 흡수용이)

- 세심한 관찰(수세빈약, 부분시비, 최소의 화학비료 사용)

- 충분한 관수

- 초생재배

⼗ 토양유출방지 천적의 활동처 재공

⼗ 자연유기물 획득

※ 상품과율 80%이상 고품질생산 소득증대

나. 병해충

⼐ 방재전후 철저한 관찰

⼐ 병해충 발생정보 수시입수, 예방대책수립

- 현재 발생 병해충

⼗ 발생지역

⼗ 발생밀도

⼗ 피해상황

- 문제되는 병해충(과거발생 및 피해상황)

- 생육단계별 기상조건에 따른 병해충 발생 상황

※ 종합평가 = 사용농약명, 농약에 대한 적응성, 살포회수, 살포간격, 살포물량 등 적기방제